궤양성 대장염이란?
궤양성 대장염은 비특이적 염증성 장질환으로 가장 많이 오는 경우가 10대에서 30대이지만 모든 연령에서 남녀 구별없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현재 원인이나 치료방법에 대하여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로 우리나라에는 빈도가 적다고 알려져 왔으나 점차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궤양성 대장염의 원인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자가면역, 감염, 음식물, 장 내용물, 흡연, 경구 피임제, 정신적인 요인, 나이, 성별 및 인종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됩니다.
궤양성 대장염의 증상
주 증상은 출혈을 동반한 설사와 복통이며 심한 경우에는 발열과 체중감소를 동반합니다.
보통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하루에도 여러번의 출혈과 고름을 함유한 설사와 심한 경련성 복통, 탈수, 빈혈, 발열, 체중 감소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궤양성 대장염이 대장 전체를 침범하는 경우보다 주로 직장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고름과 피가 섞인 대변과 배변 후 잔변감이나 둔중감으로 인해 배변 횟수가 증가하고 하복부 통증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1) 직장출혈
2) 설사
3) 복통
4) 발열
5) 복부 종괴
6) 장누공
7) 장폐쇄
8) 피부, 눈, 간, 췌장, 신장, 관절, 혈액 등 장관 이외의 증상
진단 및 검사
궤양성 대장염은 비특이적 대장염이기 때문에 궤양성 대장염이 의심되더라도 크론씨병이나 결핵성 대장염 등 다른 질환의 가능성에 대하여 추가적인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1) 혈액검사
2) 대장조영술
3) 대장내시경검사
4) CT, MRI
궤양성 대장염과 대장암과의 관계
궤양성 대장염에서 대장암 발생의 위험은 이미 알려져 있으며 염증의 범위, 병에 걸린 기간, 활동성 질환 상태의 기간, 질환의 심한 정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데 보통 25년에 25-30%, 30년에 30-35%, 40년에 65% 정도이며 기간이 길수록 높아집니다.
따라서 치료를 지속하여 염증상태를 호전시키고 염증의 기간을 최소화 하며 1년-2년 주기로 대장내시경검사를 시행하여 대장암의 조기 발견을 유도해야 합니다.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
궤양성 대장염은 현재 완전한 치료방법은 없으나 전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완치의 방법이 곧 개발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1) 식이요법
궤양성 대장염의 식이요법은 염증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직장에 국한된 심하지 않은 염증의 경우 과도한 식이 조절나오히려 영양 장애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적절하고 균형있는 식단을 유지하는 정도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염증의 범위가 넓고 장기화 되면서 흡수장애가 유발될 경우에는 고열량(40∼50g/kg), 고단백질(1.5-2g/kg) 식사를 실시하며 장이 과도하게 팽창하지 않도록 섬유질의 섭취량을 줄이고 유제품(우유)이나 지방은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가 부족하기 쉽기 때문에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식단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혈중 내 칼슘, 마그네슘, 아연 농도를 체크하여 부족시 보충해야 하며 빈혈이 있는 경우에는 엽산, 비타민 B12, 철분 등을 보충합니다.
2) 약물요법
궤양성 대장염은 염증의 부위와 범위 그리고 심한 정도에 따라서 약물치료가 달라지는데 급성기에는 치료를 유도하는 유도요법을, 증상이 호전된 경우에는 관해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유지요법을 시행합니다.
궤양성 대장염은 만성의 형태로 진행되기 때문에 약물치료를 중단하지 말고 꾸준히 지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3) 수술적 용법
궤양성 대장염이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독성거대결장, 장천공, 출혈 등이 발생하거나 대장암으로 진행된 경우에는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하게 됩니다.
대전대장항문병원 삼성외과의원 / 김준영 외 2명 / 사업자등록번호 : 305-90-14939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1126번지 시온메디칼 6,7층
고객센터 : 042-361-5500 (평일: 10:00 ~ 18:00 / 토요일: 10:00 ~ 13:00 / 일,공휴일 휴무)
Copyright (c) 2012 TJlink. All rights reserved AD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