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비크리닉
변비란 소량의 딱딱하고, 건조한 변을 보며, 일주일에 2번 이내의 변을 보는 것을 말하지만 실제로 이러한 기준 보다는 배변 횟수가 줄면서 배변이 쉽지 않은 경우에 변비로 생각하고 원인적인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 변비환자의 대부분은 잘못된 식생활과 운동 부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올바른 식생활 습관과 적절한 운동 만으로도 변비가 좋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대장암과 같은 다른 질환에서도 변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변비가 지속될 경우에는 전문의를 방문하셔서 다른 질환이 동반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성 변비증으로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5가지 사항 중 2가지 이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1) 대변보는 횟수가 1주일에 2회 이하
(2) 하루에 본 대변의 양이 35g 이하
(3) 전체 배변 횟수중 25% 이상에서 과도한 힘이 필요한 경우
(4) 전체 배변 횟수중 25% 이상에서 딱딱하고 굳은 변이 나오는 경우
(5) 전체 배변 횟수중 25% 이상에서 배변이 끝난 후에도 변이 남아있는 듯한 느낌
변비의 종류
1) 기질성 변비 :대장암, 직장암, 대장용종, 항문질환, 척추질환, 당뇨병등 원인이 제거되면 저절로 치료되는 변비
2) 기능성 변비 : 일반 대장 검사로는 진단이 되지 않고 특수 직장 항문 생리검사 상으로 진단되는 변비
3) 이완성 변비 :대장 운동이 전반적으로 많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인 변비
변비의 원인
1) 섬유질 및 수분 섭취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
2) 운동이 부족한 경우
3) 약물에 의한 경우: 진통제, 항우울제, 진정제, 혈압약, 이뇨제, 칼슘보조제등
4) 과민성 대장증후군
5) 변비약의 오,남용
6) 변의(대변을 보고싶은 느낌)를 반복적으로 참는 경우
7) 특이한 전신 질환: 루푸스, 갑상선질환, 파킨슨병, 중풍, 다발성 경화증, 척수손상등
8) 대장과 직장의 질환
9) 대장기능의 이상 (Chronic Idiopathic Constipation)
10) 임신, 연령의 증가, 여행
1) 식 사
변비의 주된 원인은 채소, 과일과 모든 곡식에 많은 섬유질을 충분하게 섭취하지 않고, 치즈, 달걀 그리고 육류와 같은 지방질을 과다하게 섭취하기 때문입니다.
섬유소(수용성과 불용성)는 체내에서 소화가 잘되지 않는 과일, 채소와 곡류에 많습니다. 섬유소의 용적(부피)과 부드러운 형태는 대변이 딱딱해지고 건조해지는 것은 방지해주며 대변의 양을 늘려주어서 배변을 용이하게 해 줍니다.
2) 운동 부족
운동부족은 변비를 유발한다. 예를 들어, 변비는 가끔 사고나 병환으로 인해 오래 침대에 누워 있거나 운동을 할 수 없을 때 발생합니다.
3) 약 제
진통제(특히 마약성분), Aluminum을 함유한 제산제, 진경제, 항우울제, 철분제, 이뇨제 그리고 항경련제는 장 운동을 저해합니다. 따라서, 약을 복용할 때에는 의사와 잘 상의해서 복용하여야 합니다.
4) 과민성 대장증후군
경련성 대장으로 알려진 과민성 대장증상 환자는 대장에 경련이 일어납니다. 변비와 설사가 번갈아 일어나며 복통, 가스가 차고 복부 팽만감이 흔하게 발생합니다.
비록 과민성 대장증상이 평생 반복해서 일어날 수 있지만 생명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은 아닙니다. 그것은 가끔 스트레스로 악화되기도 하지만 별다른 원인이 없거나 대장에서 병변을 찾을 수 없는 경우가 흔합니다.
5) 일상생활의 변화
가) 임신 : 임신 시 호르몬의 변화나 자궁이 커지면서 장을 눌러 변비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
나) 고령 : 연령이 증가됨에 따라 신진대사가 저하되면서 장 근육의 활동성이 감소하게 되기 때문에 장 운동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다) 여행 : 더욱이 사람들은 가끔 여행 시 변비가 유발되는데 그들의 평상시 식사와 생활패턴이 깨지기 때문입니다.
6) 변비약의 남용
변비에 대한 잘못된 사회통념은 변비약(완화제)의 과도한 오용으로 이어졌습니다. 이것은 매일 변을 봐야 한다고 생각하는 성인에서 흔합니다. 변비약은 항상 필요한 것이 아니라 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보조요법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변비약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대장은 점차 변비약(완화제)에 의존하기 시작하는데 대장의 신경에 손상을 가져와서 대장의 원래 수축능력이 저해되기 때문입니다.
7) 변의(대변보고 싶은 느낌)를 지속적으로 억제하는 경우
대변을 보고 싶은 변의를 느끼게 되더라도 이것을 참게 되면 결국 변의는 소실되고 변비가 생기게 됩니다. 특히 아침 출근 시간에 바쁘다 보면 화장실에 갈 시간을 놓치게 되어 변비가 생기는 경우가 흔합니다. 어떤 사람은 집 밖에서 화장실 가는 것을 꺼려하기 때문에 대변을 참게 됩니다.
또 어떤 사람들은 감정적 스트레스나 매우 바쁜 일로 인해 배변을 자꾸 참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면 우리의 머리 속에 대뇌에서는 점점 감각이 무뎌지고 결국에는 변이 있어도 변을 보기 힘들어지는 상황이 됩니다.
8) 특수 질환
변비의 원인이 되는 질환으로는 신경질환, 대사성질환, 내분비질환 그리고 장기에 영향을 주는 전신질환 등이 있습니다. 이 질환들은 대변이 대장, 직장 또는 항문을 지나갈 때 장 운동이 늦어지기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기능적 변비, 원인을 알 수 없는 만성 특발성 변비가 드물게 있을 수 있습니다.
변비의 진단
최근엔 그렇지 않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병원을 찾는 많은 변비 환자들은 검사 받기를 꺼리거나 변비에 무슨 검사를 하나 의아해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모든 질환이 그렇듯이 변비도 다양한 원인이 있기에 정확한 원인을 가려내는 것이 변비 치료의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단순히 그 순간에 배변을 원활히 해주는 약물을 복용하는 것은 당시에는 만족할 수 있겠지만 결국엔 대장을 이완시키고 장무력증에 빠지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정확한 병력 청취와 진찰
환자의 식사량과 식생활 습관, 변비가 있어온 기간, 배변 횟수, 배변 시 걸리는 시간, 과도한 힘주기는 없는지, 변의는 잘 느끼는지, 변의 굵기와 단단한 정도, 잔변감의 유무 등을 정확히 청취 해야 하고 전신질환, 수술, 약물 복용 여부 등의 기왕력을 알아야 하며, 직장수지검사를 통해 직장 내 대변의 유무와 성상, 항문 질환과 배변 유도 시 항문 및 직장의 수축 여부, 직장을 폐쇄하는 질환 유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대장내시경 또는 대장 조영술
직장 및 대장내의 대변의 통과를 막는 암이나 용종, 게실, 염증성 장 질환 등을 발견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검사입니다.
3) 대장 통과 시간 검사 (장운동 검사)
대장의 시발점인 맹장에서 항문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검사로 장이 정상적으로 운동하는지 확인합니다.
4) 배변 조영술
대장통과 시간이 정상이라도 항문에서 대변이 배출되지 않는 여러 가지 질환을 찾아내기 위해 인공 대변을 주입하여 대변을 보게 하면서 X선 사진을 찍는 검사입니다.
5) 항문 근전도 검사
골반저와 항문주위에서 항문의 개폐를 조절하는 근육들과 그 근육들을 지배하는 신경의 기능을 검사합니다.
6) 항문 내압 검사
대변의 마지막 관문인 항문 괄약근의 압력과 감각기능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변비의 치료
변비증상이 있는 분 중에 전문의의 진찰과 처방 없이 변비약을 복용하는 분이 계시는데 이 경우 습관성 변비약으로 인해 만성변비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고 대장암과 같은 악성질환이 동반된 경우에는 치료시기를 놓쳐서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변비가 지속될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의를 방문하셔서 상담하시고 원인에 맞는 치료 방침을 정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식사요법
충분한 양의 섬유질(하루에 20에서 30g)은 대변을 부드럽게 하고 대변량을 늘리는데 도움이 됩니다. 의사나 영양사는 적절한 식단을 계획하여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고 섬유질성 음식에는 콩류(강낭콩, 콩나물, 팥), 모든 곡류(현미와 콘프레이크), 신선한 과일(사과, 딸기, 포도, 수박, 살구), 채소류(아스파라거스, 양배추, 홍당무, 시금치, 고사리),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등이 있습니다.
《 하루필요량 30g 》
호박 100g(2조각) : 2.99g, 고구마 100g(소1개) : 2.32g, 감자 100g(중1개) : 1.35g, 사과 100g(1/2개) : 1.63g, 배 100g(1/2개) : 1.07g, 완두콩 20g(2줄기) : 3.95g, 팥 20g : 3.19g, 비지 40g(1공기) : 3.77g, 밤 70g(7개) : 4.92g, 송이버섯 40g : 1.24g, 다시마 10g : 2.8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
곡류
현미, 보리, 율무, 조, 수수, 팥 등의 잡곡류, 옥수수, 고구마, 감자, 미숫가루, 토란, 통밀빵, 오트밀, 콘후레이크
두류
대두, 팥, 강낭콩, 완두콩, 녹두, 된장
견과류
밤, 호두, 은행, 참깨, 땅콩, 아몬드, 해바라기씨
채소류
모든 채소(배추, 무청, 양배추, 파, 오이, 미나리, 상추, 부추, 풋고추, 당근, 샐러리, 호박, 도라지, 고사리, 고비, 버섯), 말린 나물류(무말랭이, 건 호박, 건취, 건 표고 등)
해조류
김, 미역, 미역줄기, 다시마, 파래, 톳
과일류
모든 생과일(사과, 배, 수박, 참외, 자두, 살구, 딸기, 키위, 무화과, 토마토, 파인애플, 복숭아 등), 말린 과일류(건포도, 곶감, 대추, 말린 바나나 등)
따라서, 식사할 때에는 현미밥에 콩이나 팥을 섞고 나물 반찬에 된장국, 미역국, 토란국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변비증상이 있는 분은 아이스크림, 치즈, 고기 그리고, 가공한 음식은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충분한 음료수와 주스는 대장에 수분을 공급하고 대변의 양을 늘려주고 대변을 부드럽게 만들어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대전대장항문병원 삼성외과의원 / 김준영 외 2명 / 사업자등록번호 : 305-90-14939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1126번지 시온메디칼 6,7층
고객센터 : 042-361-5500 (평일: 10:00 ~ 18:00 / 토요일: 10:00 ~ 13:00 / 일,공휴일 휴무)
Copyright (c) 2012 TJlink. All rights reserved ADMIN